한국은행이 오늘 2020년 3월 16일 기준으로 기준금리 전격인하를 발표했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1.25% 에서 0.75% 로 인하하였다.
이에 앞서 미국은 3월 4일 기준금리를 0.5% 인하하고,
한국기준 16일 기준금리를 갑작스럽게 금리를 1% 더 인하할 것을 발표했다.
사실 대부분의 금리변동은 시장의 유동성을 보고 0.25%씩 내리게된다.
하지만 코로나 여파와 미국재선이 얼마 안남은 상황에서 트럼프대통령은
파월의장에게 금리인하에 대한 압박을 지속해왔다.
원래라면 3/17~18일에 금리에 대한 발표가 있을 예정이였으나
현재 미국내에서도 내수경기 침체와 코로나확진자가 지속하는 상황에서 파격적인 인하를 발표한 것이다.
또한 7000억 달러 규모의 양적완화도 발표하여, 위기에 있음을 시사하게 했다.
사실상 제로금리 시대로 접어든 것이다.
기준금리 0% 시대 - 한은 : 기준금리 0.75% - 미국연준 : 기준금리 0 ~0.25% |
코로나의 여파가 이런 상황까지 올 지는 1월만 하더라도 상상도 못했다.
전세계적 유행인 펜데믹까지 선언하면서 전염병으로 인한 우리의 일상, 나아가 전세계의 경제까지도 위협받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떤 전략을 세우고 투자해야 할까?
금리가 인하로 소비나 회사의 경기를 부양하기위해 돈을 시장으로 푸는 것 이지만, 사실상 불황이 장기화되게 된다면,이 자금이 부동산으로 들어가게될 경우 부동산은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사실 정부의 부동산정책으로 강남, 마용성이 집값이 잡히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금리 인하정책은
정부에서는 원치않은 상황일 것이다.
미국의 파격적인 금리인하로 인한
어쩔수 없는 선택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0.5% 금리인하가
과연 효과적일지는 미지수이다.
아직까지는 상황을 지속적으로 보고 투자에 대해 객관적으로 지켜볼 필요가 있다.
'부자되기 >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PPI 생산자 물가지수 8.5%, 기준금리 지속 상승 가능 (22년 10월) (0) | 2022.10.14 |
---|---|
한국은행 기준금리 발표 0.5% 인상 (2.25%, 22년 7월 13일 기준) (3) | 2022.07.13 |
24년 만에 온 엔저 돈 벌기회인가? (엔화투자 전망, 환전 수수료 이벤트, 환전 스프레드) (0) | 2022.07.01 |
22년 4월 이 달의 책 추천: 더 해빙 (1) | 2022.04.26 |
현명한 투자자의 마인드를 기를 수 있는 책 추천 (0) | 2020.04.01 |